피스코드

peace coder

  • 시스
  • 디지털 민주주의 플랫폼, 왜 시민이 만들어야 할까요?

    외출 시 약속과 약속 사이에 빈 시간이 생기면 커피숍을 찾습니다. 오전 일찍부터 저녁까지 회의 혹은 약속이 있는 날에는, 더는 커피를 마시기 힘들 정도로 계속해서 커피숍을 들락날락하는 경우도 생깁니다. 그럴 때면 공원 나무 그늘 의자에 앉아 바람을 쐬고 싶습니다. 쾌적한 공간에서 커피를 마시는 것도 즐겁지만, 우리에겐 공원과 같은 공공 공간도 필요합니다. 공간에 대한 단상을 인터넷으로 옮겨볼까요? […]

    rest515

    2022-08-04
    2. 디지털 민주주의와 협력하고 신뢰하는 사회, 3. 디지털 공공재와 풍요롭고 지속가능한 경제, 분류 없는 글, 사회적협동조합 빠띠, Z
  • 나는 왜 민주주의 혁신에 집중하는가?

    빠띠의 후원회원 제도인 빠띠즌을 알리고 후원을 요청하는 글입니다. 빠띠를 통해 하려는 민주주의 혁신의 내용을 설명하며, 이 일을 하게 된 개인적인 이유도 함께 정리했습니다. 그렇기에 민망하고 부끄럽기도 하고, 부담스럽습니다만 앞으로 여러 시행착오를 인내하며 노력하겠단 약속이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빠띠 이사장 권오현입니다.오늘은 오랫동안 드리고 싶었던 중요한 이야기를 꺼내보고자 직접 글을 씁니다.다소 긴 이야기지만, 끝까지 읽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왜 ‘빠띠’라는 […]

    rest515

    2022-07-19
    2. 디지털 민주주의와 협력하고 신뢰하는 사회, 3. 디지털 공공재와 풍요롭고 지속가능한 경제, 사회적협동조합 빠띠, Z
  • 3화. 이제 실전이다! 민서의 첫걸음 이야기

    지난 2화에서는 민주주의 서울의 설계와 프로세스에 관해 고민했던 이야기와 시범사업의 경험을 나눴습니다. 3화에서는 시범사업에서 1단계로 넘어간 민주주의 서울 (이하 민서)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어떻게 달라지고 발전했을까요? 이를 위해 빠띠는 무엇을 고민하고 노력했을까요? 본문에서 확인해보세요. 이 글은 “2화. 민주주의 플랫폼을 향한 고민과 실험”에서 이어집니다. 공무원, 민간 전문가가 함께하는 협력체계를 만들다 민주주의 서울이 자문과 시범사업을 거치는 사이 지방선거가 치러졌습니다. […]

    rest515

    2021-11-17
    2. 디지털 민주주의와 협력하고 신뢰하는 사회, 사회적협동조합 빠띠
    민주주의서울
  • 2화. 민주주의 플랫폼을 향한 고민과 실험

    이 글은 “1화. ‘민주주의 서울’에서 싹틔운 시민협력플랫폼의 꿈”에서 이어집니다. 시민과 서울시가 제안하고, 시민이 함께 논의해 결정하면, 서울시가 실행한다 ‘시민제안 → 행정 답변 → 행정 실행’이라는 기존 제안 플랫폼의 프로세스를, ‘시민과 서울시의 공동제안 → 시민숙의 → 시민결정 → 각 단위 실행’으로 발전시키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보다 많은 시민이 참여할 수 있도록 단계별 장벽을 낮추고, 작동 구조와 운영 체계를 […]

    rest515

    2021-11-17
    2. 디지털 민주주의와 협력하고 신뢰하는 사회, 사회적협동조합 빠띠, Z
    민주주의서울
  • 1화. ‘민주주의 서울’에서 싹틔운 시민협력플랫폼의 꿈

    2021년은 빠띠가 항해를 시작한 지 5년이 되는 해입니다. ‘어떻게 하면 더 많은, 더 나은 민주주의를 만들 수 있을까?’라는 질문으로 방향키를 잡았던 2016년의 첫 마음이 떠오릅니다. 다섯해가 지나는 동안 빠띠는 서로 신뢰하고 협력하는 기반의 민주주의 플랫폼을 만들고, 시민이 직접 기술과 데이터를 활용해 여러 사회를 문제를 주도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일을 해 왔습니다. 그 과정에서 […]

    rest515

    2021-11-17
    2. 디지털 민주주의와 협력하고 신뢰하는 사회, 사회적협동조합 빠띠, Z
    민주주의서울
  • 만들고 싶은 서비스, 마지막 하나 남았다

    2021년 9월 30일에 alookso 시즌 제로 오픈. 약 6개월 가량 실험실, 알파 오픈 등을 거치며 여러 정책들을 실험했지만, 오픈 직전까지도 정책은 계속 바뀌었다. 그 덕분에 시즌 제로 전에 만든 것들을 묻어두거나, 새로 만들 것들이 많아졌지만, 또한 그 덕분에 사용자들로부터 가이드를 받는 호사를 누리게 됐다. 계속 반성하며 정책을 날카롭게 다듬거나, 만들고 뒤엎고를 해내는 팀이나 모두 대단하고 […]

    rest515

    2021-10-09
    3. 평화
  • 시민의 기술(Civic Tech)로 만드는 디지털 세상, 코드포코리아

    이 글은 사단법인 코드에 기고한 글입니다. 부모로서든 동년배로서든 혹은 시민으로서든 인간으로서든 “내가 뭐라도 해야 한다”는 인식이 한국 사회에 강하게 퍼지기 시작한 시점을, TV화면을 통해 세월호가 가라 앉는 장면을 지켜 보기만 해야 했던 때로 꼽는 사람들이 많다. 나의 행동이 커다란 임팩트로 이어지진 않더라도, 가만히 있기에는 스스로가 부끄럽고 아이들에게 미안하다는 생각을 하던 한 명, 한 명의 시민들이 […]

    rest515

    2021-04-12
    1. 첨단﹒열린﹒시민의 기술과 디지털 시민 주권, 코드포코리아, Z
  • 디지털 경제의 사회적 전환과, 사회적 경제의 디지털 전환

    이 글은 사회적경제 정책포커스 2020년 12월 ‘한국판 뉴딜과 사회적 경제’에 기고한 글입니다. 2030년 인류가 해결해야 할 가장 중요한 과제는 무엇이 될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 20세기 최고 경제학자는 ‘여가’라고 답했다. 존 메이너드 케인즈는 1930년 “손자 세대의 경제적 가능성(Economic Possibilities for Our Grand-children)”이란 강연에서, 대공황이 한창이고 파시즘도 기승을 부리던 시기였음에도 불구하고, 100년 뒤의 인류가 “정치인들이 경제 위기가 […]

    rest515

    2021-01-12
    1. 첨단﹒열린﹒시민의 기술과 디지털 시민 주권, 2. 디지털 민주주의와 협력하고 신뢰하는 사회, 3. 디지털 공공재와 풍요롭고 지속가능한 경제, 분류 없는 글
  • 디지털 민주주의의 지평 넓히기 – 코드포코리아, 팩트체크넷, 공익데이터실험실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더 많고, 더 나으며, 일상의 민주주의를 만들겠다는 사회적 협동조합 빠띠의 2020년 한 해도 저물어 갑니다. 빠띠를 시작하던 무렵 “정치란 선출직을 뽑는 과정에만 활용되는 것이 아니며, 일상 속에서부터 민주주의가 시작되어야 한다. 민주주의는 다양한 영역에서 필요한 신뢰와 협력의 기반 중 하나이며, 따라서 민주주의 플랫폼에는 다양한 디테일이 필요하다”는 빠띠의 이야기에 낯설어 하는 분들이 많았지만, 2020년에 […]

    rest515

    2020-12-24
    2. 디지털 민주주의와 협력하고 신뢰하는 사회
  • 모두에게 불로소득을

    대학을 졸업하고 취업한 직장에 가기 위해 생애 처음으로 수도권으로 홀로 이사를 했다. 그때 나는 창문이 냉장고로 가려져 있지만 대신 세탁기가 옵션인 신축 원룸을 구했다. 경기도권이라 가격이 저렴했지만, 해당 원룸의 보증금을 마련하기 위해 부모님은 500만원을 지인에게 빌려야 했다 (그리고 몇년 후에 부모님 두분이 돌아가신 후에 아직 그 빚이 남아 있었단 걸 뒤늦게 알고 상속 포기와 상관없이 […]

    rest515

    2020-07-15
    1. 첨단﹒열린﹒시민의 기술과 디지털 시민 주권, 3. 디지털 공공재와 풍요롭고 지속가능한 경제
1 2 3 … 8
다음 페이지

Proudly Powered by WordPress

  • 팔로우 팔로우중
    • 피스코드
    • 이미 워드프레스닷컴 계정을 갖고 계세요? 지금 로그인하세요.
    • 피스코드
    • 사이트 편집
    • 팔로우 팔로우중
    • 가입
    • 로그인
    • 이 콘텐츠 신고하기
    • 리더에서 사이트 보기
    • 구독 관리
    • 이 표시줄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