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자체가 운영하는 민주주의 플랫폼의 조건과 민주주의 서울의 시작
2017년 2월 9일. 한국에 입국하자마자 서울시청 근처로 두 공무원을 찾아갔습니다. 설 직후라 조용했던 서울시청 근처, 저는 그날 처음 본 분들에게 “담당 공무원만의 힘으로 할 수 있는 일이 아닌데요. 여러 필수 조건들이 갖춰지지 않은 상태라서 무리하지 않으시면 좋겠네요.”라고 이야기했습니다. 올해 말까지 시범사업을 끌어온 ‘민주주의 서울’의 첫 미팅 자리였습니다. 대통령 탄핵 정국이었던 그 당시 빠띠가 해 왔던…
-
슬로워크와 함께 일한 조직이 1100곳
2013년도에 다니던 회사를 그만 두고 UFOfactory를 창업할때는 소원풀이를 한다는 심정이 컸습니다. 안정적인 회사를 다니면서 남은 시간을 그때 막 관심을 받기 시작하던 공유기업 중 하나의 서비스를 만들어주곤 했는데요. 그런 내 모습을 보면서, 사회를 바꾸려는 곳들이 필요로 하는 기술 기반을 제공하는 일을 제가 한번은 제대로 해 봐야 아쉬움이 남지 않겠다 싶었습니다. Daum에 입사하면서 잡았던 목표이기도 했고, 2010년에…
-
인터넷, 민주주의, 공공재 그리고 빠띠
벌써 5월의 중순입니다. 한달의 절반이 지나갔습니다. 동시에 1년의 절반이 다가옵니다. 올 봄에 빠띠는 앞으로 2년간의 로드맵을 그렸고, 차근차근 목표들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2017년까지의 빠띠는 “민주주의 시스템을 위한 실험과 민주주의 문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의 확산”에 집중했습니다. 2018년부터 빠띠는 플랫폼과 방법론을 정리하고, 알맞게 팀을 구성하여 목표 하나씩 집중해 성과를 만들어 나가려 합니다. . 민주주의 플랫폼 협동조합, 민주주의 활동가 협동조합의 설립…
-
우리가 익혀야 할 기술 리터러시는 코드 작성 능력이 아닙니다
우리 생활에 깊숙이 들어온 페이스북이 요즘 여러가지 문제 제기로 소란스럽습니다. 친구의 소식인 줄 알았던 타임라인은 광고로 뒤덮이고, 나의 개인 정보를 내가 인지하지 못하는 사이에 페이스북이 많이 수집했다고도 합니다. 비슷한 견해를 가진 사람들만으로 이뤄진 거품 속에 우리를 가두어서 페이스북에선 마음이 편하지만 사실은 우리가 편견만 키우게 만들기도 합니다. 다른 사용자로부터 모욕과 혐오를 당해도 페이스북의 적극적인 조치를 기대할…
-
뭔갈 내가 직접 시작하고 싶진 않았는데…
하나, 둘, 셋, 넷. UFOfactory를 만들기 전까지 만들었던 회사나 단체의 개수를 세어본다. 그 전에 다녔던 회사는 하나, 둘, 셋. 병역특례를 했고, SI&SM회사에 다녔고, 포털에서 일을 했다. 정당에서 짧게 반상근한건 빼더라도. UFOfactory 이후에도 법인격을 가지거나 임의단체를 만든게 3개인가 더 있다. UFOfactory는 슬로워크와 합병했고, 빠띠는 부족함이 많지만 자리를 잡아가는 중이고, 우주당은 실험 중이다. 더민플이든 피스코드든 느슨한 커뮤니티도…
-
아무 것도 하지 않습니다
20171011 다시 바쁜 일상이 시작되었다. 어쩔 수 없이 바쁜 일상을 살아가나 싶다가도, 내 안의 누군가는 분명 이 상황을 즐기고 있다. 그럼에도 내 안의 또 다른 누군가는 아무 것도 하고 싶지 않아라는 분명한 자기 주장을 한다. 따뜻한 볕을 쬐며 파란 하늘과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를 바라보며 아무 것도 하지 않는 즐거움을 조만간 길게 만끽하고 싶다.
-
대답을 찾지 못한 모색들
<20170912 항해일지> 내일 컨퍼런스를 준비하며 모인 아침 미팅. 30분을 생각했던 모임은 두시간 가까이 걸렸고, 많은 이야기들이 오갔다. 내일 세션을 찾아오는 이들에게 어떤 자리를 만들어 주어야 할까, 멀리 뉴질랜드 엔스파이럴에서 온 수잔에게 사람들은 무슨 이야길 듣고 싶을까, 자기 조직화의 경험이 부족한 우리들은 어떤 기대를 갖고 있을까 등등. 찾아오는 이들과 더 많이 이야길 나누고 싶어했던 수잔의 바램을…
-
안심이 된다
요즘 들어 세상을 바꾸려는 이들을 더 많이 만난다. 내가 바라는 것들을 동일하게 바라고 주장하는 이들을 만나는 일도 더 많아졌다. 그럴 때마다 안심이 된다. 나는 내가 세상을 바꿀 만한 의지가 강한지 모르겠고. 그만한 능력도 있는지 모르겠다. 다만 내가 바라는 목표와 좋아하는 방식이 있었고, 내 주변에 그런 목표를 가진 사람과 그런 방식을 지향하는 사람이 없었기 때문에, 나라도…
-
peace builder와 5가지 플랫폼
저는 매일 아침 컴퓨터 앞에 앉으면 하는 일이 있습니다. 우선 저에게 주어진 시간이 1년 뿐이라고 가정합니다. 그리고 내가 되고 싶은 정체성을 적어 놓은 버킷리스트를 열고, 한번 더 내가 되고 싶은 정체성에 더 가까워지도록 다듬고, 내가 가진 자원과 역량, 시간의 범위 내에서 할 수 있는 만큼만 담기도록 다듬습니다. 이 목록에는 일치되고 정직한 삶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몸과…
-
민주적인 조직 만들기 가이드를 소개합니다
빠띠를 시작한지 1년 반만에 눈에 띄게 느껴지는 변화가 있습니다. 바로 민주주의를 주제로 이야기 나눌 때에 조직의 민주주의가 여의도와 티비에서 벌어지는 정치만큼 중요하다는 인식이 크게 늘어났다는 점인데요. 민주주의 플랫폼 벤처로 스스로를 소개하는 빠띠를 찾아오는 분들도 이젠 조직 내에 민주주의 시스템과 문화를 어떻게 도입할지를 문의하는 경우가 크게 늘었습니다. 다양한 형태와 상황의 조직들을 만날때마다 빠띠에서는 민주주의를 조직에 도입한다는…
댓글을 달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