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소에 있는 짐을 하나 하나 정리했다. 사무실에 가져갈 책, 일본으로 가져갈 책, 당분간 읽을 책을 한 곳으로 모으고. 옷가지는 눈에 보이는 곳에 모은 후에 가능한 필요한 것만 남겨두려고 해 본다. 먹을꺼리들은 여간해서는 잘 안 먹으니까 사무실로 옮겨놓았고, 몇 안 되는 식기도 한 곳에 모아둔다. 눈에 보이는게 내 짐의 전부이지만 이것들 중에도 쓰이지 않는게 많다. 생활하는데 내게 필요한건 정말 얼마 되지 않는다.
지금 지내는 곳의 계약이 이제 몇 달 남지 않았다. 계약이 만료되면 가급적 한국에 오는 횟수를 더 많이 줄이려 한다. 경제적으로 넉넉치 않은 상황에서 삶의 기반을 이렇게 국외로 옮겨도 되는걸까 걱정이 든다. 그러나 지금 한국에서 하는 일이 넉넉해지려는 일과는 무관하긴 매한가지다. 애초에 넉넉함이란게 무엇인지 경험해 본 적도 없던터라, 노력도 안 하면서 혹시나 기회가 올까라는 막연한 바램이 있는지도 모른다. 정말 바라는게 아니라.
부모님 두 분이 모두 돌아가신 후에 알게된 것도 두 분의 삶 어떤 순간에도 넉넉한 적이 없었다는 발견이었다. 사업을 하시던 아버지에겐 받아야 할 빚들이 있었지만 갚아야 할 것들도 있었기에 우리 형제는 상속을 포기하기로 했고, 어머니는 형과 함께 사는 것과 매달 나오는 적은 보조금 외에는 저금도 벌이도 없었다. ‘매달 생활비를 어떻게 만드셨던 걸까’ 나는 두 분이 돌아가신 후에야 그런 의문이 들었고, 아무 것도 못 해드렸던 것을 후회하기도 했다. 내가 첫 직장을 다니기 위해 부산을 떠날때, 부모님이 주신 500만원이란 보증금과 지인들로부터 빌리신 돈을 갚기 위해 내가 살던 곳의 보증금을 빼는게 내가 할 수 있는 전부였다. 첫 직장을 다니면서는 얼마 안 되는 비용이었지만, 은행으로부터 빌린 학자금을 갚고 있었고.
물론 나 역시도 넉넉하다는 느낌, 안정감을 가져본 적이 태어나서 지금까지 아직 한 번도 없다. 그러니 20대의 내가 부모님의 사정을 더 자세히 알았다한들 무얼 할 수 있었겠나. 나를 포함한 대부분의 사람들의 삶은 이렇듯 목만 내어놓고 먼 곳을 수영하는 느낌 아니겠나 짐작하며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버텨낼 각오였을 뿐이다. 어쩌면 내가 만드는 조직의 구성원들의 먹고사니즘을 가장 먼저 걱정하는 까닭도 내가 해 온 경험과 내가 처한 상황 때문일 테고. 부산의 가난한 산동네 아이였던 내가 기술 하나로 버텨온 것처럼 그들이 기술로 밥벌이를 하기를 바라는 마음이었는지도 모르겠다. 제 앞가림도 여전히 못하면서 말이다.